IMG-LOGO
최종편집: 2024-05-03 23:56:42

핵발전 사고 나면, 전북은 안전한가

“후쿠시마 재앙, 남의 일 아냐”...5주기 앞두고 탈핵 캠페인


... 문수현 (2016-03-03 10:48:37)

일본 후쿠시마 핵발전 사고 5주기를 앞두고 광주지역 시민·학생 단체들이 캠페인에 나섰다. 핵발전소 사고 위험은 전라남도와 경계선에 핵발전소를 두고 있는 전북으로서도 중요한 현안일 수밖에 없다.

핵 없는 세상 광주전남행동, 사회진보연대 광주전남지부, 전남대 학생행진 등 단체들은 2일 오전 전남대 후문에서 탈핵캠페인을 벌였다. 이들은 “안전하지도 깨끗하지도 않은 핵발전을 중단하라”며 “후쿠시마를 기억하자”고 호소했다.

체르노빌 참사 이후 최대의 핵발전소 사고인 후쿠시마 참사로, 일본은 후쿠시마 일대 뿐만 아니라 국토의 20%가 방사능에 오염됐다. 피해 주민들은 현재까지도 여러 질병과 경제적 피해 등 커다란 상처를 안고 살아가고 있다.

단체들은 “후쿠시마 참사의 교훈은 핵에너지가 결코 안전하지 않고 그 피해도 영구적이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특히 전남 영광군에 있는 한빛원전에 대해 “2026년부터 수명이 다하는 노후 원전이고 사고 위험이 높아 지역의 환경운동단체 및 탈핵운동단체들은 ‘수명연장 없는 한빛원전 폐로’를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면서 “그런데도 정부의 정책담당자들은 수명연장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염려했다.

‘핵 없는 세상 광주전남행동’은 광주전남지역에서 핵에너지의 위험성에 대해 시민들에게 알리고 있으며, 다달이 ‘탈핵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2일 낮, 핵 없는 세상 광주전남행동 회원들이 후쿠시마 핵발전 사고 5주기를 앞두고 전남대 후문에서 핵발전 중단을 촉구하는 캠페인을 펼쳤다. 고창과 경계예 있는 영광핵발전소에서 사고가 나면 전북 대부분 지역이 방사능 오염을 피하기 어렵다.)

한편, 전북지역도 핵발전 사고의 안전지대가 아니다. 현행 방사능방재법은 원자력시설에서 방사선비상이나 방사능재난이 발생할 경우 주민 보호를 위해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을 설정해두고 있다.

기존에는 원전반경 8~10km의 단일구역이었으나, 방사능방재법이 2014년 개정되면서 예방적 보호조치구역(3km~5km)과 긴급 보호조치계획구역(부산·경남 20km, 전남·북·울산 30km)의 2단계로 광역화·세분화됐다.

이에 따르면 고창군 상하와 해리, 공음 등 3개 면은 한빛원전 반경 10km 안에 있고, 고창 대부분 지역과 부안군 일부가 비상계획구역에 포함된다.

특히 올해는 법 개정에 따른 매뉴얼 확립과 지자체의 역량 강화가 주요 과제로 떠오른 상태다.

‘핵 없는 세상을 위한 고창 군민행동’ 윤종호 운영위원장은 “근본적으로는 핵발전소를 폐쇄하는 게 중요하겠지만, 사건 사고 없이 안전하게 운영되게끔 감시하는 것도 중요하다”며 “지자체들이 시민들의 입장에서 제대로 방사능방재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영광핵발전소(한빛원전)에서 사고가 일어나게 되면 전북지역에 안전지대는 있을 수 없다고 지적한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 때 사고지점 반경 20km를 강제적 피난구역, 30km까지는 자발적 피난구역으로 정해 주민들을 대피시켰지만, 사고 40일 뒤에는 40~60km 떨어진 지역의 방사능 오염 사실을 확인하고 해당 주민들에게 피난명령을 내린 바 있다.

윤 위원장은 “후쿠시마 사고를 반면교사로 삼는다면, 고창과 부안은 물론 영광핵발전소에서 반경 40km 거리의 정읍시, 50~60km 거리의 군산과 김제, 70km 거리의 전주 등 전북에서 핵발전소 사고의 안전지대는 거의 없다”며 “한국에 핵발전소 사고에서 안전한 지역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윤 위원장은 한편 “지난 2003~4년 부안 주민들이 방사성폐기물 관리시설 건설을 막아냈지만, 영광에서는 최근 중준위 핵폐기물 임시저장시설을 짓고 있는 실정”이라며 “우리 도민이나 국민들이 모르고 있을 뿐, 매우 위험하고 실질적인 위협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